라벨이 말소기준권리인 게시물 표시

부동산 경매 감정평가서 - 단순한 가격표가 아닙니다. 제대로 읽어야 합니다.

이미지
1.  경매 부동산의 감정 평사서의 중요성 부동산 경매에 처음 발을 들인 사람이라면 , 온갖 서류에 압도되기 쉽습니다 . 그중에서도 감정평가서는 결코 대충 훑어볼 수 없는 핵심 문서죠 . 이 평가서는 단순한 숫자표가 아니라 , 해당 부동산의 상태와 가치를 진단하는 일종의 ‘ 종합검진서 ’ 에 가깝습니다 . 집행관 현황보고서 매각 물건 명세서는 점유자 , 임대차 , 점유권자의 권리 등 부동산 경매의 법적 리스크에 대한 중점적인 정보를 안고 있다면 , 부동산 감정평가서는 부동산의 가치를 갈음하게 만드는 문서입니다 . 즉 , 법적리스크를 제외한 문제에서 부동산의 가치에 따른 입찰을 선택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문서라 할 것입니다 . 부동산 경매의 감정 평가서는 공인 된 감정 평가사에 의해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부동산 시세와는 또 다른 의미입니다 . 부동산의 경락 가치를 정하는 것은 온전하게 입찰자의 몫입니다 . 부동산 경매 입찰자가 경매 부동산의 현재 및 미래 가치 , 수익성 등 투자 가치를 정하는데 법원이 제공하는 핵심적인 문서입니다 . 이번 포스팅에서는 감정평가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, 또 어떻게 읽어야 실제 투자에 도움이 되는지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.   2. 감정평가서란 정확히 뭘까 ? 감정평가서는 법원이 지정한 전문 감정평가사가 작성한 문서입니다 . 해당 부동산의 위치나 용도 , 건물 구조는 물론이고 주변 환경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격을 산정하죠 . 이 문서가 바탕이 되어 경매의 최저입찰가가 정해집니다 . 쉽게 말해 , 감정가는 경매가 시작되는 출발선입니다 . 중요한 건 , 감정평가서는 단순한 가격표를 넘어서 ‘ 현장감 ’ 을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. 예컨대 지목과 실제 이용 상태가 다른 경우나 , 건물 · 토지 간 불일치 , 등기되지 않은 제시외 건물이나 수목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은 오직 평가서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. 이걸 놓치면 , 낙찰 이후 예상치 못한 골칫거리가 생길 수도 있죠...

부동산 경매 권리분석 ― 말소기준 권리 분석은 부동산 경매의 생명선

이미지
1. 말소기준 권리 분석은 경매 입문의 첫 관문 경매에 처음 발을 들이는 분들이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. “ 이 아파트가 시세보다 얼마 싸게 나오나요 ?” 경매의 목적이 시세보다 싸게 취득하는 것이 경매에 참여하는 최대 목적입니다 . 하지만 그 최대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매 물건에 대한 리스크가 없어야 합니다 . 이를테면 시세보다 훨씬 싸게 중고자동차를 구매 하였지만 , 엔진 내부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타고 다닐 수 없다면 시세보다 싸게 산 의미가 없습니다 . 이러한 문제가 있는 중고 자동차는 싸다고 해도 사야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. 따라서 경매 물건의 리스크를 점검하는 것은 가격 문제를 떠나 안전한 경매의 출발입니다 . 눈에 띠는 낮은 낙찰가만 보고 덥석 입찰에 들어갔다가 평생 후회할 수도 있습니다 . 실무현장에서 뒤늦게 말소되지 않는 전세보증금을 인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한숨을 쉬다 입찰 보증금 몇천만원 날리고 경매를 포기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. 이러한 문제가 생긴 이유는 딱 한가지 말소기준권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. 2. 말소기준권리란 ? 말소기준권리는 부동산 경매에서 낙찰 후 권리가 소멸할지 , 남아서 낙찰자가 인수할지 를 가르는 기준점 입니다 . 즉 경매 낙찰 물건 인수에 있어 법원에 낙찰금만 주고 부동산을 인수하고 끝나는 문제냐 또는 낙찰금 외에도 제 3 자에게 추가금을 주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. 쉽게 말하면 , 부동산 등기부 등본에 다닥 다닥 붙은 권리에 선 하나를 그어 앞과 뒤를 나누는 것입니다 . 그 선보다 앞에 있는 권리 는 살아남아 낙찰자가 인수 그 선보다 뒤에 있는 권리 는 대부분 경매로 소멸 말소기준 권리 하나만 제대로 이해해도 , 경매 위험의 80% 는 줄일 수 있습니다 .   3. 말소기준권리의 기준점은 어디인가 ? 여기서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헷갈립니다 . “ 그럼 그냥 제일 먼저 생긴 권리가 기준 아닌가요 ?” 아닙니다 . 말소기준권리는 ‘ 경매를 신청한 채권자의 권리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