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부동산법인 게시물 표시

주식회사의 주식 명의 신탁과 이사의 자기거래의 위험성 - 경영권으로 번지는 싸움

이미지
 1.  이사의 주식 자기거래를 통한 경영권 전쟁   신문사업을 주업이었던 한라 미디어는 소규모 주식회사 법인이었지만 나름 내실 있게 운영되었습니다 . 한라 미디어는 한라일보의 자회사로 한라 미디어의 주식 주식 65% 를 보유하였습니다 . 한라일보의 이사로 오랫동안 재직하고 있던 A 씨는 자회사인 한라 미디어에 대한 개인적인 지배력을 높이고 싶었습니다 . 그러다 A 씨는 한라일보가 보유하고 있는 한라 미디어 보유분 주식을 매입할 기회를 잡았습니다 . 한라일보가 가지고 있는 한라미디어 6 억여원어치를 매입한 A 씨는 바라던대로 한라 미디어에 대한 지배력을 높였습니다 . 그리고 A 씨는 매입한 한라미디어 주식을 지인 B 씨에게 명의신탁까지 하였습니다 .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. 이사의 자기거래는 바로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문제였습니다 . 상법 제 398 조에 따라 회사와 이사의 거래 즉 , 이사의 자기거래는 미리 이사회 또는 주주총회의 승인 을 얻어야 했습니다 . 더구나 한라 미디어는 자본금 10 억 미만의 소규모 주식회사였고 상법 383 조 4 항에 따라 자본금 10 억 미만의 소규모 회사는 이사를 1 명 또는 2 명으로 둘 수 있으며 , 한라 미디어는 2 인의 이사를 두고 있어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습니다 . 자본금 총액이 10 억원 미만인 회사는 이사를 1 명 또는 2 명으로 둘 수 있다 . 이 경우 제 398 조의 이사회 승인은 주주총회의 승인으로 갈음한다 ( 상법 383 조 4 항 ). 상법의 사정이 이러함에도 A 씨는 주주총회 승인을 거치지도 않았고 , 회사와 자기거래를 통해 주식을 매입하고 명의신탁까지 한 것입니다 . 이것이 문제가 된 것입니다 . 주식 명의 신탁을 받은 B 씨가 A 씨의 동의 없이 주식을 만도 신문에 처분한 것입니다 . 만도신문 또한 오래전부터 한라 미디어에 대한 지배력을 높이고 싶어했고 마침내 바램을 이루었습니다 .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라 미디어는 경영권 방어에 나섰습니다...

판례로 풀어보는 주택임대차 보호법의 임차인의 계약갱신권과 임대인의 실거주

이미지
1. 이번엔 우리가 들어가 살 거니까 , 계약은 연장 못 해드릴 것 같아요 .   서울에서 살고 있는 김씨부부는 집 문제로 시름이 깊었다 . 직장도 멀어 출퇴근도 부담이 되고 있었고 , 커가는 아이들로 인해 집이 비좁았다 . 게다가 중학교를 졸업하는 아이의 진학 문제도 걱정이었다 . 좀 더 넓고 교육환경이 좋은 지역으로 이사를 가고 싶었지만 전세금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임대 매물도 마땅치 않아 이사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. 현행 임대차 보호법은 통상의 2 년의 임대계약기간을 계약 갱신권을 행사하면 2 년은 더 연장할 수 있었다 . 이것 저것 고민을 하던 김씨부부는 임대인에게 계약갱신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. 다음날 집주인에게 계약갱신권을 행사하기 위해 연락을 취하자 집주인은 대뜸 부모님을 모시고 살 생각이라며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갱신을 거절했다 . 그런데 이상했다 . 집주인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 비하여 비좁은 임대주택으로 이사를 하려는 것도 이상했고 , 더구나 부모님의 병원 문제를 들먹이며 부모님을 돌봐야 한다는 것도 납득이 되지 않았다 . 김 씨 부부는 걱정이 밀려왔다 . 이사비용과 치솟은 전세금을 감당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. 따라서 당장 이사를 하는 것은 녹록하지 않았다 . “ 진짜 들어오려는 걸까 , 그냥 우리를 내보내고 보증금 올리려는 핑계일까 ?” 2. 실거주를 이유로 한 갱신 거절 , 합법일까 ? 주택임대차보호법은 2020 년 개정을 통해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권을 강화했습니다 . 쉽게 말해 ,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집주인은 전세 계약 연장을 거절할 수 없습니다 . 즉 , 임차인이 원하는 경우 2 년 + 2 년은 보장을 하여야 하는 것이죠 , 하지만 단서 조항이 하나 있습니다 . “ 임대인이나 그의 직계존비속 ( 부모 , 자녀 ) 이 실제로 거주하려는 경우에는 계약을 갱신하지 않아도 된다 ( 주택임대차보호법 제 6 조의 3 제 1 항 제 8 호 ).” 이 조항 때문에 매년 수많은 전세 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.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