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소득공제방법인 게시물 표시

부동산 경매 감정평가서 - 단순한 가격표가 아닙니다. 제대로 읽어야 합니다.

이미지
1.  경매 부동산의 감정 평사서의 중요성 부동산 경매에 처음 발을 들인 사람이라면 , 온갖 서류에 압도되기 쉽습니다 . 그중에서도 감정평가서는 결코 대충 훑어볼 수 없는 핵심 문서죠 . 이 평가서는 단순한 숫자표가 아니라 , 해당 부동산의 상태와 가치를 진단하는 일종의 ‘ 종합검진서 ’ 에 가깝습니다 . 집행관 현황보고서 매각 물건 명세서는 점유자 , 임대차 , 점유권자의 권리 등 부동산 경매의 법적 리스크에 대한 중점적인 정보를 안고 있다면 , 부동산 감정평가서는 부동산의 가치를 갈음하게 만드는 문서입니다 . 즉 , 법적리스크를 제외한 문제에서 부동산의 가치에 따른 입찰을 선택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문서라 할 것입니다 . 부동산 경매의 감정 평가서는 공인 된 감정 평가사에 의해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부동산 시세와는 또 다른 의미입니다 . 부동산의 경락 가치를 정하는 것은 온전하게 입찰자의 몫입니다 . 부동산 경매 입찰자가 경매 부동산의 현재 및 미래 가치 , 수익성 등 투자 가치를 정하는데 법원이 제공하는 핵심적인 문서입니다 . 이번 포스팅에서는 감정평가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, 또 어떻게 읽어야 실제 투자에 도움이 되는지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.   2. 감정평가서란 정확히 뭘까 ? 감정평가서는 법원이 지정한 전문 감정평가사가 작성한 문서입니다 . 해당 부동산의 위치나 용도 , 건물 구조는 물론이고 주변 환경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격을 산정하죠 . 이 문서가 바탕이 되어 경매의 최저입찰가가 정해집니다 . 쉽게 말해 , 감정가는 경매가 시작되는 출발선입니다 . 중요한 건 , 감정평가서는 단순한 가격표를 넘어서 ‘ 현장감 ’ 을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. 예컨대 지목과 실제 이용 상태가 다른 경우나 , 건물 · 토지 간 불일치 , 등기되지 않은 제시외 건물이나 수목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은 오직 평가서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. 이걸 놓치면 , 낙찰 이후 예상치 못한 골칫거리가 생길 수도 있죠...

신용카드 소득공제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을까?

이미지
1. 연말정산 , 신용카드 소득공제 왜 챙겨야 할까 ? 연말정산만 다가오면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한 번쯤 하실 겁니다 . “ 내가 올해 카드 긁은 걸로 도대체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어 ?”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연말만 되면 저절로 떠오르는 것이 신용카드 소득 공제입니다 . 그만큼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직장인이라면 꼭 챙겨야 하는 직장생활의 루틴입니다 . 하지만 ‘600 만 원 공제 가능 ’ 같은 말만 보면 와닿지 않습니다 . 오늘은 복잡하게 계산하지 말고 ,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.   2. 신용카드 소득공제만 기본 개념만 간단히 ① 기준은 내 연봉 ( 총급여 ) 입니다 . ② 연봉의 25% 이상을 써야 공제 대상 이 됩니다 . 예를 들어 연봉이 4,000 만 원이면 , 1,000 만 원 넘게 써야 그 이후부터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. 3. 신용카드 소득공제 어떤 것들이 있는데 ....... 신용카드 종류도 많아 뭐가 뭔지 고민입니다 . 그러나 사용처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달라집니다 . ① 신용카드 : 15% ② 체크카드 · 현금영수증 : 30% ③ 전통시장 · 대중교통 : 40% ④ 도서 · 공연 · 영화 ( 총급여 7 천만 원 이하 ) : 30% 쉽게 말하면 ,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가 두 배 유리 하고 , 전통시장 , 대중교통은 소득 공제 한도를 더 늘려 줍니다 .   4. 공제 한도는 얼마나 ? ① 연봉 7 천만 원 이하 : 최대 300 만원 ② 연봉 7 천만 원 초과 : 최대 250 만원 ③ 전통시장 · 대중교통 · 도서공연은 각각 100 만 원 더 가능 잘만 쓰면 최대 600 만 원까지 공제가 됩니다 .   5. 그렇면 얼마나 도움 되는데 .......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게 , 공제금액 = 환급금액 이 아니라는 겁니다 .   최대 600 만원 공제라고 하는데 600 만원이 환급 되는 것이야 ? 라고 생각하시는 경우도 꽤 있으시던데 .......